교육시스템

  • 스카이스쿨
  • 교육시스템
  • 맨투맨입시전략
  • 에듀솔루션
  • 입시솔루션
  • 입시뉴스
  • 공지사항
  • 상담신청

영역별 솔루션

  • 시스템소개
  • 교육과정
  • 학습코칭
  • 수능전문교사
  • 영역별 솔루션

영역별 솔루션

  • 국어영역
  • 수학영역
  • 영어영역
  • 사탐영역
  • 과탐영역

(

수능에서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현재 공부하고 있는 교과서는 물론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제작된 교과서의 다양한 ‘대화·담화’와 ‘읽기 자료’를 ‘문항유형’과 연계하여 학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01

대의 파악 유형

대의 파악 능력은 대화·담화를 듣거나 글을 읽고 전체적인 내용을 이해·추론하는 능력이다.
듣기의 대의 파악 유형에는 대화나 담화의 목적, 주제, 요지, 제목 등을 추론하거나 대화자 또는 담화자의 주장, 의견, 심정, 대화의 장소나 대화자간 관계 등을
추론하는 문항이 포함될 수 있다.
읽기의 대의 파악 유형에는 글의 주제, 목적, 요지, 제목, 시사점, 분위기/심경, 필자의 주장/의견 등을 추론하는 문항이 포함될 수 있다.
일상생활 관련 소재를 비롯하여 인문, 사회, 예술, 과학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대화·담화를 듣거나 글을 읽으며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하고 핵심 내용을 유추해 보도록 한다.
그리고 대화·담화나 글에 대한 사실적 이해를 바탕으로 직접적으로 제시되지 않은 사항을 논리적으로 추론해 보는 연습이 필요하다.
img

예시 01

이 문항은 대화를 듣고, 대화자(여자)의 의견이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하는 문항이다. 평소 교과서의 대화나 담화와 같은 듣기 자료를 들으면서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화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파악해 보는 연습이 필요하다.
대화의 도입부를 통해 대화 또는 담화가 일어나는 상황이나 장소, 대화자 간의 관계를 유추해 보고
전체적 맥락과 흐름을 파악하여 대화자의 의견을 추론해 본다.
대화자가 반복하거나 강조하는 핵심 단어와 표현에 유의하여 듣는 연습도 도움이 된다.
img

예시 02

이 문항은 다소 추상적인 내용을 다루는 글의 요지가 무엇인지 파악해야 하는 문항이다. 평소 인문, 사회, 과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룬 읽기 자료를 읽으면서
전체적인 맥락을 파악해 보는 연습이 필요하다.
단어 하나하나의 뜻을 해독하여 의미를 이해하기보다는 글 전체를 훑어 읽어 가며
필자가 글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핵심적인 내용을 유추해 본다.
다양한 소재와 종류의 영어 지문을 읽으면서 글이 일반적으로 어떻게 구성되며,
논지가 어떻게 전개되는지 정리해 보는 것도 글의 요지 파악에 도움이 된다.
02

세부 사항 파악 유형

세부 사항 파악 능력은 말이나 글에 제시된 특정 정보를 사실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이다.
듣기의 세부 사항 파악 유형에는 화자의 한 일, 할 일, 부탁한 일, 숫자 정보, 5W1H(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왜, 어떻게)를 묻거나,
도표나 그림 등의 시각자료를 활용한 대화 일치/불일치, 대화·담화 내용 일치/불일치, 언급 유무를 묻는 문항이 포함될 수 있다.
읽기의 세부 사항 파악 유형에는 내용 일치/불일치와 실용 자료 내용 일치/불일치 및 도표 내용 일치/불일치를 묻는 문항이 포함될 수 있다.
세부 사항 파악은 일상생활과 관련된 소재를 비롯하여 인문, 사회, 예술, 과학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대화·담화나 글의 내용을 구체적인 사항에 초점을 맞추어 이해하고,
직접적으로 제시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연습을 필요로 한다.
img

예시 01

이 문항은 대화를 듣고, 구체적인 정보(여자가 남자를 위해 할 일)
파악해야 하는 문항이다.
듣기 자료의 핵심적인 내용과 전개 방식에 비추어 제시된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하며,
요구되는 정보가 무엇인지 찾아본다.
이때, 대화나 담화의 표현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한 일’, ‘할 일’, ‘부탁한 일’ 등의 구체적인 정보가
무엇인지 파악한다.
평소 사실적 정보를 담고 있는 듣기 자료를 많이 듣고, 들은 내용을 메모해 보는 연습도 도움이 된다.
03

빈칸 추론 유형

빈칸 추론 능력은 글을 읽고 누락된 정보를 글의 내용에 비추어 추론하는 능력이다.
빈칸에는 단어나 구, 절, 문장이 오거나 연결어가 올 수 있다. 빈칸에 들어갈 내용은 글의 주제나 요지와 관계가 있거나 주요 세부사항과 관련된 것이다.
사실적 이해를 바탕으로 직접적으로 명시되지 않은 사항을 논리적으로 추론함으로써 빈칸에 들어갈 적절한 단어나 구, 절, 문장, 연결어를 파악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img

예시 01

이 문항은 글을 읽고, 빈칸에 들어갈 단어를 추론해야 하는 문항이다. 글의 핵심적인 내용과 글의 논리적 흐름을 이해하여 문맥상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단어를 선택한다.
다양한 소재의 글을 대상으로 글을 빠르게 읽으면서 글의 중심 내용과 전체적 흐름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빈칸에 적절한 단어를 대입하여 앞뒤 문맥이 자연스러운지 검토해 보는 연습도 효과적이다.
04

문법·어휘 유형

문법 능력은 단순 암기를 통한 문법 지식보다는 문단의 전체적 의미나 문장 간의 의미적 관련성을 고려하여 문법성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다.
문법 문항 유형에는 알맞은 문법 형태를 주어진 보기 중에서 선택하는 박스형 문항과, 잘못 사용된 문법적 표현은 찾아내는 밑줄형 문항이 있다.
평소에 문장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문법 지식을 익히고, 글을 구성하는 다양한 문장 구조의 특성을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어휘 능력은 문맥에 알맞은 어휘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어휘 문항 유형에는 문맥에 알맞은 어휘를 주어진 보기 중에서 선택하는 박스형 문항, 문맥에 맞지 않는 어휘를 찾아내는 밑줄형 문항이 있다.
또한 글을 읽고, 대명사와 같은 지칭어가 가리키거나 의미하는 바를 문맥을 통해 파악하는 지칭 추론 문항도 문법·어휘 유형에 속한다.
다양한 소재의 글을 읽고 글의 전체적 흐름을 빠르게 파악하고 문맥을 활용하여 어휘의 의미를 유추하도록 연습한다.
어휘의 1차적 의미뿐만 아니라 2차적, 3차적 의미까지 고려해서 문맥에 가장 적절한 의미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는 것도 도움을 줄 수 있다.
img

예시 01

이 문항은 밑줄 친 어휘 중에서 문맥을 고려할 때 잘못 사용된 어휘를 찾는 문항이다. 글의 요지나 주제를 빨리 파악하여 글의 흐름상 어색한 어휘를 찾는다.
어휘의 의미를 많이 암기하는 것에 그치지 말고, 글의 중심 내용과 전체적 흐름을 고려하여
문맥에 적절한 어휘의 의미를 유추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05

간접 말하기 유형

간접 말하기 능력은 가상의 의사소통 상황에 대한 대화나 담화를 듣고 전체적인 맥락과 의사소통 상황을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응답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다.
간접 말하기 유형 문항에는 짧은 대화 응답 문항과 대화 응답 및 담화 응답 문항 등이 포함된다.
교과서에 나오는 다양한 대화·담화를 듣고 전체적인 흐름과 의사소통 상황을 파악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의 단원 목표에서 제시하고 있는 의사소통 기능의 중요한 표현들을 학습한다.
img

예시 01

이 문항은 짧은 대화를 듣고, 대화를 완성하기 위해 가장 적절한 응답을 파악해야
하는 문항이다.
대화의 전체적인 맥락과 의사소통 상황을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응답을 찾아야 한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단원 목표에서 제시하고 있는 의사소통 기능의 중요한 표현들을
학습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대화를 들으면서 이어지는 응답 부분을 가린 다음 어떻게 표현하는 것이 자연스러울지 유추해 보고
표현해 보는 연습도 효과적이다.
06

간접 쓰기 유형

간접 쓰기 능력은 글의 전체적인 맥락과 문장의 논리적 흐름을 파악하여 가상의 글쓰기에 적용 할 수 있는 능력이다.
간접 쓰기 문항 유형으로는 글의 전체 흐름과 무관한 문장 찾기, 주어진 문장의 적절한 위치 찾기, 글의 순서 찾기, 다소 긴 글을 문장으로 요약하기 등이 있다.
인문, 사회, 과학, 예술, 문학, 시사 문제 등의 다양한 글을 읽으며 글의 중심 내용과 전개 방식을 파악해 본다.
글의 전체적인 흐름과 문장과 문장 간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글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는지,
글의 핵심적인 내용이 하나의 문장으로 잘 표현되었는지 판단해 보는 연습이 효과적이다.
img

예시 01

이 문항은 글의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하여 주어진 문장 다음에 이어질 문장들의 순서
가장 적절한 것을 찾는 문항이다.
이 문항에서는 문장 간 문법적 연결 관계나 내용적 연결 관계를 파악하여,
전체적인 글의 흐름이 일관성과 논리적인 연결성을 유지하도록 문장들의 순서를 정한다.
이를 위해 글의 중심 내용을 파악한 후에, 이어지는 문장들에서 논리적 흐름에 따른 문장 간의 연계성을
유추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명시적 단서인 연결사, 지시어, 대명사 등의 연결 고리뿐 아니라
내용상의 연결을 고려하여 문제를 풀어 보는 연습을 한다. 글의 중심 내용과 논리적 전개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평소에 다양한 종류의 글을 읽으면서 글의 중심 내용과 전개 방식을 파악해 본다.